[부모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어린이집의 창의적 역량이 어린이집 교사의 조직몰입 및 교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란(Kim, Jeongran)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20.06 5 - 24(20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어린이집의 창의적 역량과 어린이집 교사의 조직몰입 그리고 교수 창의성 간의 상관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53개의 어린이집 교사 363명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어린이집의 창의적 역량과 교사의 조직몰입 변인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의 창의적 역량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어린이집 교사의 조직몰입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다중회귀분석결과, 조직몰입의 세 가지 차원에 창의적 역량의 하위차원인 리더십은 모두 유의하였으나, 다양성은 규범적 몰입과 조직몰입 총합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린이집의 창의적 역량과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 창의성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영역 및 인성적 영역에서 모두 의미 있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넷째, 어린이집의 창의적 역량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 창의성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양성과 자율성이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어린이집 영유아들에게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과 교사들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의적 환경 조성에 매진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NO.1
보육교사의 인성, 직무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채신영(Chae, Shin You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20.06 25 - 40(16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 직무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소재 어린이집을 선정하여 2018년 2월부터 3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350부이었고 회수된 설문지는 332부이었으며, 이 중에서 5문항이상의 미체크된 설문지는 제외하였고 최종적으로 326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이 아동학
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아동학대의 보육활동, 학부모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NO.2
유아교육기관의 팀티칭 운영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이윤정(Lee, Youn Ju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20.06 41 - 57(17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에게 팀티칭의 의미와 필요성, 팀티칭의 효과, 팀티칭 운영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으로서 4·3년제 유아교육학과, 보육교사 교육원, 사이버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49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카이자승검증, ANOVA, Dunnett T3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로는 첫째, 팀티칭 실행이 필요한 이유는 ‘교사들의 협력으로 수업 계획 및 실행과 평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가 가장 높았으며, 팀티칭을 실시하는 목적은 ‘교사 간의 능력· 경험의 차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팀티칭 반운영에 있어서는 ‘교사간의 장점을 살려 다양한 활동 제공’을 가장 높게 나타났다. 팀티칭의 협력관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교사 간의 영유아에 대한 의사소통 증가’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팀티칭의 참여여부를 결정하는 주체에 대하여서는 ‘교사들 간의 회의’를 통해 결정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NO.3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의 장애전담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조귀희(Cho, Kwi-Hee)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2020.06 59 - 77 (19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의 장애전담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차이를 비교하여 장애통합어린이집의 통합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서울, 경기도 소재 장애통합어린이집의 장애전담교사 204명과 일반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통합교육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 통합교육에 관한 관심과 필요성,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어린이집 준비도, 통합교육의 효과성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고 일반교사들의 경우 개선방안,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어린이집 준비도, 통합교육에 관한 관심과 필요성, 통합교육의 효과성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장애통합 어린이집에서의 장애전담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장애전담교사가 일반교사보다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 효과성, 개선방안에 높게 인식하였다. 그렇지만, 통합교육을 위한 어린이집 준비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