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
다문화가정유아 지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분석최봉례(Choi Bong Lye);박재옥(Park Jae Ok)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2020.09 5 - 18 (14 pages) 국문초록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유아 지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현직 유아교사 344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연구문제 2는 유아교사 344명 중 현재 다문화가정의 유아를 지도하는 유아교사 1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환경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유아교사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이 스트레스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유아 지도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유아교사는 근무시간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규명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발생되는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활용하고자 한다. |
NO.1 |
양육효능감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정미현(Jeong, Mi-hyun);이경주(Lee, Gyeong Ju)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2020.09 19 - 37 (19 pages) 국문초록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행동을 예측하는 결정적 요인인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경기지역의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로 선정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은 사전검사, 프로그램 처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에 따른 사전검사 평균차이 검증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평균차이 검정 결과(t=-1.42, P=0.1631) 두 집단의 차이가 없었는데 집단에 따른 사후검사 평균차이 검정 결과(t=3.56, P=0.00)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사전검사에서 집단 간 평균차이가 나지 않았는데 처치 후 사후검사에서 평균 차이를 보였다는 것으로서 프로그램의 처치 효과가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또한, 각 하위요인별로 집단 간 사후검사 평균차이 검정결과 모든 하위요인의 평균에서도 프로그램의 처치효과가 나타났다. 각 집단에서의 사전·사후검사 평균차이 검증 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고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정되었으므로, 검사형태에 따른 각 집단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는데 실험집단에서 사전·사후검사 평균차이 검정 결과(t=-6.61, P<0.000) 유의수준 0.05보다 매우 낮으므로 평균차이가 나타났다. 사전검사 실시 후 프로그램 처치를 가하고 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평균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의 처치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주는 결과이다. 또, 각 하위 요인별로 평균차이 검정결과 유의수준이 모두 0.00보다 낮으므로, 집단1인 실험집단에서 각 하위요인별 사전·사후검사의 검사결과 차이가 나타남으로서 모든 하위요인별 처치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NO.2 |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김명신(Kim, Myeongsin)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2020.09 39 - 54 (16 pages) 국문초록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은 어떠하며, 어린이집 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67명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린이집교사들의 공감능력은 평균이상으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인지적공감이 정서적공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하고,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
NO.3 |
어린이집교사의 정서지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이미경(Lee, Mi Gyeo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2020.09 55 - 72 (18 pages) 국문초록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의 정서지능과 문제해결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정서지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교사 299명이었고, 연구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Cronbach’s α,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린이집교사의 정서지능과 문제해결능력은 보통수준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지능과 문제해결능력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은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영향을 본 연구 결과는 영유아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