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
가정어린이집교사의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차이 연구이혜자(Lee, Hye-ja);김갑순(Kim, Kab Soon)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2020.03 5 - 20(16 pages) 국문초록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 교사의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인식 연구를 위해 부모참여 활동의 현황을 파악해 본 후,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교사의 인식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소재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14명의 응답결과를 최종 분석하였다. 도구는 조미영(2008)의 연구에 사용된 도구를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하여 SPSS WIN version20.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과 신뢰도 계수(Cronbach s )를 산출하였다. 문항 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구하였고, 부모참여활동 현황은 다중응답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학력과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과목수강과 연수경험이 있는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가정어린이집 교사는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교사 교육 및 연수가 필요하며 이를 통한 교사의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이는 교사가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인식의 방향을 영아뿐 아니라 부모와 교사 자신까지 확대하고 능동적으로 변화해야 함을 시사한다. |
NO.1 |
부모코칭역량이 부모자녀의 의사소통과 부모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우동옥(Woo Dongok);김응자(Kim Eungja)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2020.03 21 - 32(12 pages) 국문초록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코칭역량이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부모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것이다. 연구 대상은 충남, 경남,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부모 328명 이었다. 자료분석은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 부모코칭역량, 부모자녀 의사소통, 부모유능감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모코칭역량이 부모-자녀 부정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부모코칭역량 요인은 부모-자녀 부정적 의사소통을 14.7% 정도 설명하였고 회귀모형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성장촉진역량, 자기성장역량, 의사표현역량, 의사존중역량이 부모유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부모코칭역량은 태어나 처음 타인과 소통하는 유아기의 자녀에게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그때의 경험이 이후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부모코칭프로그램을 통한 코칭역량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NO.2 |
어머니의 정서표현 지각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이혜경(Lee, Hye Kyu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2020.03 33 - 48(16 pages) 국문초록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정서표현 지각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바람직한 어머니의 정서태도에 관한 방향을 제시하여 유아가 사회 환경에서 적응적인 구성원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4년 4월 21일부터 4월 30일까지 Y유치원 만3세 유아 75명, 만4세 유아 75명, 만5세 유아 80명의 유아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만3세 유아 67명, 만4세 유아 71명, 만5세 유아 70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 유아와 어머니의 배 경 변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연구대상 정서표현 지각 수준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또래 수용도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실시하였 고, 어머니의 정서표현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전체적인 정서표 현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및 또래 수용도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 결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또래 수용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 및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유의미하다고 나왔다. 어머니의 정서표현 요인 중 부정적 정서표현은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또래 수용도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바람직한 어머니의 정서태도에 관한 방향을 제시하여 유아가 사회 환경에서 적응적 인 구성원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NO.3 |
유아의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인식, 놀이참여가 유아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김진희(Kim, Jin Hee)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2020.03 49 - 64(16 pages) 국문초록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인식, 놀이참여 및 유아행복감에 대한 관계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에 위치한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의 자녀를 둔 어머니 34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자료처리는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유아의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인식과 놀이참여도, 유아행복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 One-way ANOVA검증 및 Duncan 사후검증을 하였다. 또한, 유아의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인식, 놀이참여, 유아행복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인식과 유아행복감에 대한 관계를 알아본 연구 결과, 어머니의 인식 하위 요인 전체는 유아 행복감 하위 요인 전체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놀이참여와 유아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에서도 어머니의 놀이참여 전체와 유아행복감 전체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인식에서 실외놀이, 놀이안전, 놀이시간은 유아의 행복감에 유효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놀이참여는 신체놀이, 역할놀이가 유아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