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9권 제2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
남녀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격특성에 미치는 영향박계란;이지민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9권 제2호 2012.12 5 - 20(16 pages) 국문초록본 연구는 D·G지역의 남녀 대학생 286명(남: 129명, 여: 157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성별에 따른성격특성의 차이와 대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그들의 성격특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성격특성척도는 Goldberg(1999)가 개발한 IPIP(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를 유태용, 이기범, Ashton(200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대학생이 지각 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홍성희(2002)의 부모양육태도척도로 4가지 하위영역인 온유적, 독재적, 허용 적, 방임적인 양육태도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남녀성별에 따라서는 신경증, 외향성, 성실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특성 중 신경증의 경우 부·모의 방임적인 양육태도, 외 향성은 어머니의 온유적인 양육태도, 친화성과 성실성에는 아버지의 온유적인 양육태도가 가장 높 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부모와의 관계 및 양육태도가 대학생들의 성 격특성을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이며, 대학생들이 대학생활과 나아가 사회생활을 잘하기 위해서 는 자신의 성격특성에 대한 이해와 부모의 온유·허용적인 양육태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NO.1 |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의 관계JeongMi-Hyun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9권 제2호 2012.12 21 - 33(13 pages) 국문초록본 연구는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0세∼만 5세까지의 자녀를 둔 어머니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척도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양육효능감(2010)척도와 양육지식(2011)척도를 사용하였고, 연구결 과는 PK(양육지식)와 TSE(양육효능감의 총합)과의 관계는 r=.79, PK와 PA(양육태도)는 r=.76, PA와 CA(의사소통능력)은 r=.62, PA와 TSE(양육효능감의 총합)은 r=.79, SRA(자기조절능력)과 CA(소통능력)은 r=.80, SRA와 TSE(양육효능감 총합)은 r=.78, SPA(문제해결능력)과 CA(의사소 통능력)은 r=.69, SPA와 TSE(양육효능감의 총합)은 r=.75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 중의 하나인 양육지식’ 과 ‘양육지식’과의 관계에서는 큰 의미를 찾지 못했다. 그것은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에서의 양육 지식’은 매우 광범위한 일반 지식이었고 또 하나의 척도인 ‘양육지식’은 매우 전문적인 발달지식과 세부적인 개념이 포함된 지식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이 되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적게 나타난 이 결과를 연구자는 처음엔 이해하기 어려웠지만 그 이유를 분석하고 나니, 영유아기 의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준비 역시 지식의 난이도와 세부적인 측면에서의 좀 더 세밀한 준비와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이것은 본 연구의 나름대로의 의미 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 논문의 결과는 이러한 의미에서 부모의 양육지식과 관련 된 다양한 연구의 또 다른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NO.2 |
건강가정지원센터를 통한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고찰서은주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9권 제2호 2012.12 35 - 51(17 pages) 국문초록이 논문은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와 프로그램의 운영사례에 대하여 현재 건강가정지원센터 중심의 남성교육 및 아버지교육의 목적과 운영현황 등에 대한 보고이다.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아버지 및 남성교육은 아버지와 남성을 대상으로 자녀와의 관계를 향상시 키고 성별 돌봄노동의 격차를 줄이며 남성과 여성의 일 가정 양립을 지원하고 남성의 가정생활 참 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과 공통필수 사업운영을 통하여 대표적 인 사업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은 아버지교육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과 목표, 내용 등을 분석하였으며 현재 건강가정지 원센터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와 효과적인 운영 전략 등을 통해 아버지교육 및 남성교육 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NO.3 |
대학생의 정서적 신뢰도 및 갈등대처방식과 이성교제 만족도와의 관계김혜원;성정혜;이상호;배윤진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9권 제2호 2012.12 53 - 75(23 pages) 국문초록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적 신뢰도, 갈등대처방식의 유형과 이성교제 만족도의 관계를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52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 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별과 정서적 신뢰도에 따라 이성교제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갈등대처방식의 유형과 이성교제 만족도의 관계에서는 성별과 순응형, 지배형, 회피형일 때 상 호작용이 나타났다. 또한 타협형과 통합형에 있어 이성교제 만족에 대한 주효과가 나타났다. 3) 정 서적 신뢰도, 갈등대처방식 유형 및 이성교제 만족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이성교제 및 결혼생활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에 기초자 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