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정은미(Eun-Mi Ju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2017.06 5 - 19(15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최근 우리사회에서 부모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동향을 살피고 그 내용과 효과를 탐색함으로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예비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문헌을 분석하는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총 12건의 논문이 연구대상 문헌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시기별 동향을 살펴보면, 2008년에는 1편, 2009년에는 3편, 2010년부터 2012년은 각 1편, 2013년 2편, 2016년 3편으로 꾸준히 논문들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목적을 분석한 결과,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에서는 자아존중감 향상, 예비부모로서의 자질, 지식, 태도 함양, 의사소통 능력증진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프로그램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가 3편이었고, 나머지 9편은 선행연구나 기존에 개발된 프로그램을 수정 또는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넷째, 프로그램 구성내용은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내용으로 자신과 부모님과의 관계를 돌아봄으로서 자기자신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부모됨이나 부모역할을 인식하는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효과적인 의사소통방법을 습득하게 함으로서 예비부모로서의 자질과 기술을 습득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섯째, 프로그램 진행절차를 살펴보면, 실시 대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5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4편, 시설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3편으로 나타났다. 실시시간은 총 1시간에서 40시간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1회평균 1시간에서 3시간까지 운영되었다. 회기수는 1회에서 12회기로 나타나 일회성 프로그램에서 다회성 프로그램까지 다양하게 실시되었다.
여섯째, 프로그램 효과로는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부모됨에 대한 인식, 양육태도 등에서 긍적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NO.1
전문가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성리더십 구성요인 개발에 관한 연구

신춘희(Chun-Hee Shin);이소희(So-Hee Lee)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2017.06 21 - 40(20 pages)

국문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델파이 방법을 이용하여 부모의 인성리더십의 요소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절차로는 데이터 분석과 문헌 연구를 통해 인성리더십의 개념과 4가지 유형의 리더십에 따른 24개 요소를 가진 개방형 설문지가 작성되었다. 첫 번째 조사로 500명의 어머니와 500명의 아버지가 실시되었고 총 395명의 설문지가 작성되고 재수집 되었다. 두 번째 조사는 15명의 전문가에 의해 실시되었다. 15명의 전문가들은 유아교육, 인성, 리더십의 전문가로, 그들은 대학 교수, 센터장, 인성 지도교사, 박사 수료, 석사 학위 및 최소 3년의 현장 경험을 가진 석사학위 소지자인 전문 종사자들이다. 전문가들은 질문에 맞지 않는 설문지 항목을 개별적으로 수정하고 삭제했다. 세 번째 조사는 전문가 그룹과 함께 실시되었다. 그룹은 3~4명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은 리더십의 4가지 유형별로 질문지 항목을 수정했다.
그 결과 순종 리더십 122개 문항, 자기리더십 133개 문항, 섬김리더십 102개 문항, 변환리더십 101개 문항으로 선정되었으며, 각각 3개 항목으로 총 72개의 연구 결과가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부모의 인성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확립하고 구조화하기 위한 결과로부터 도출된 이론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추가적인 부모의 인성 지도 프로그램 개발과 체크리스트 개발에 있어 귀중한 기초 연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