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아동의 내면적 발달을 위한 놀잇감 고찰

박세정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2013.06 5 - 22(18 pages)

국문초록
아동의 개별적 생각이나 가치관의 중요성보다 다른 사람들의 이목과 평가에 맞추어 살도록 강요
하는 한국의 교육에서는 점점 자신의 생각이나 가치관을 퇴화시켜 자신의 소리를 잃어버려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인간은 누구나 자신만의 내면을 의미 하는
고유한 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이들의 개별적인 고유한 내면을 이해하고 그 발달에 관심을
갖는 것이 교육의 기본이다. 때로는 발달의 양상이 똑같이 나타나지는 않기도 하지만, 대부분 부모
와 교사를 포함한 많은 성인들은 연령에 따라 일반화된 발달 특징에 의해 한정된 판단을 내리기도
하고, 현대사회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느낌이나 감정과 같은 내면의 발달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아이들의 내면적 발달을 이해하지 못할 경우, 일반화된 발달 특징에서 벗어난 아이들
은 문제아동으로 판단되어, 전혀 다른 교육적 접근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아이의 내적인 발
달단계와 특성에 대한 이해는 교육적 접근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기본과제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아동의 내적 발달단계를 이해하기 위한 놀이 및 놀잇감의 중요성을 고찰함으
로써 어떻게 놀고 있는가에 대한 관찰과 이를 통한 아이들의 발달을 이해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
다. 더불어 미래에 종이와 연필을 없애고, 노트북을 이용하고 칠판을 모니터로 바꾸는 한국 교육의
개혁에 있어서, 컴퓨터, 또 태블릿 PC와 전자칠판이 교사나 부모와 아동 사이의 매개체로써 대체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부모나 교사가 아동과 함께 하는 놀이교육에 건강한 내면을 만드는데
필요한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NO.1
다문화가정 부부관계가 유아의 또래관계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일반가정유아를 비교대상으로 -

김진희;임지영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2013.06 23 - 52(30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에서의 부부관계가 유아의 또래관계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
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의 다문화유아와 일반유아
각각 60명씩 총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들의 어머니와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고, 부부간의 관계가 자녀의 또래관계 및 자녀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결혼만족도, 부부
갈등)가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일반가정의 경우 부부관계가 유아의 또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문화가정의 경우에는 부부갈등이 높을수록 유아
의 또래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관계(결혼만족도, 부부갈등)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모두 부부갈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부갈등이 일반유아와 다문화유아의 정서지
능 하위변인별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일반유아만이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과
교사와의 관계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의 경우에는 결혼만족
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정서지능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부관계 향상을 위
해서는 부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뿐만 아니라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남편, 시부모 교육 프로그램,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NO.2
영아의 정상발달과 의심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희경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2013.06 53 - 68(16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그리고 영아의 기질과 성별
이 영아의 정상발달과 의심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분석 자료는 2010년
한국아동패널조사 3차년도 자료 1,802사례였으며, 대상 영아의 평균월령은 25.75개월이었다. 한국
형 Denver II 검사에 의한 정상발달과 의심발달의 비율은 전체 사례의 89.5%, 10.5%로 나타났으며,
영아의 정상발달과 의심발달에 대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가 낮고, 영아의 사회성 기질이 부족하며, 남아일 때 의심발달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의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