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이 들끓게 하자

본문
김응자(남서울대 대학원 코칭학과 교수 21.3.19)
위 제목을 읽으면서 여러분은 어떤 생각, 어떤 마음이 드는가? 그리고 여러분 스스로 욕망이 가득했던 때를 떠올려보자.
우리는 욕망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왠지 은밀한 생각과 마음이 든다. 무엇인가 이성적 느낌이 드는 단어인 야망(크게 무엇을 이루어 보겠다는 희망)과 달리 왠지 퇴폐적이고 원초적인 느낌이 들어서 잘 사용하지 않는다.
욕망: 부족을 느껴 무엇을 가지거나 누리고자 탐함. 또는 그런 마음(국어사전)
욕망: 욕망을 선천적인 것으로 생각할 때 본능.인간의 본질(두산백과)
欲望(욕망) : 무엇을 하거나 가지고자 하는 바람. 누리고자 탐함 또는, 그 마음. 부족(不足)을 느끼어 이를 채우려고 바라는 마음(한자사전)
철학자인 최진석교수는 욕망에 대해 '내안 가장 밑바닥에 꽉차서 나를 이끄는 힘'이며, '나를 움직이게 하는 동력'이며, '나라는 존재의 본질'이라 정의한다. 결국 욕망은 내가 가장 원하는 것이며 나를 가장 나답게 하는 것이다. 이 욕망은 모든 인간이 다 다르기 때문에 나라는 존재를 특별하게 한다.
나는 모든 인간은 무한한 잠재력이있다는 코칭철학을 좋아한다. 코치의 역할은 코치 자신뿐만 아니라 고객의 잠재력을 끌어 올려 원하는 삶을 이룰수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잠재력을 끌어 올릴까가 코치들의 과제이다.
잠재력: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속에 숨어 있는 힘(국어사전)
여러분은 어떻게 고객의 잠재력을 이끄는가?
이 잠재력을 이끄는 방법은 '그것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의 질문의 답을 찾아 연결하는 과정이 아닌 나를 찾는 과정이여야한다. 질문은 자신에 대한 스스로의 호기심이 극에 달해 밖으로 튀어나오는게 질문이라 했으니, 코치가 하는 질문은 코치의 호기심이 아닌 고객의 막혀있는 호기심을 뚫어 주어 내 욕망을 볼수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그 질문이 고객의 욕망을 들끓게해서 스스로 올라오게 하는 것이 잠재력이다.
욕망은 보다 자신에 집중하게하고 내가 억지로 죽어라고 노력해야 하는것이 아니라 그냥 있어도 불쑥 불쑥 올라오는것이다. 즉, 궂이 힘을 들이지 않아도 이룰수있는것이다.
여러분은 자신도 모르게 집중하는 일이 있는가?
힘들때도 즐거울때도 아주 자연스럽게 하고 있는 일이 있는가?
오늘 나는 나에게 이런 질문을 던져본다.
네가 진짜로 원하는게 뭐야?
너를 가장 너답게 하는게 뭐야?
너는 누구냐?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