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만만 돌진형 아빠와 호기심 천국 낭만주의 딸: 우리 아이 양육에 에니어그램을 어떻게 활용할까

profile_image
관리자
2022-01-24 00:39 181 0

본문

우송정보대학 유아교육과 초빙교수 김태리

"아이고 이 언병아리."

아버지는 나를 어려서부터 늘 언병아리라며 놀리셨다. 딱히 아버지께서 언병아리의 사전적 의미를 정의해 주신 건 아니지만, 하는 짓이 꼭 한 겨울에 꽁꽁 얼어있는 어린 병아리같이 위축되어 과감하지 못하고 현실에 어두워 맹하다는, 대충 그런 의미일 것이다. 뭐든지 배짱 두둑하게 도전하시고 한번 시작한 일은 끝까지 뚝심있게 해내시는 아버지 눈에 어린 시절의 내가 얼마나 어설프고 걱정스러웠을지 짐작이 간다.

우리 집에서 나는 상당히 독특하고 이질적인 존재였다. 현실적이고 시간 관념이 철저한 아버지와 엄마, 남동생과는 달리 나는 궤도를 달리하는 생각을 하고 나만의 리듬과 고집을 고수하여 자주 나머지 가족들을 애타게 했던 것 같다. 

성장과정 내내 나는 가족 안에서의 이 이질감이 내 능력의 부족과 성격적 결함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인간의 원초적인 욕구에 기반하여 9가지 기질적 원형을 제시하는 에니어그램을 알게 된 후, 나는 내가 그저 감정 중심의 가슴형, 그 중에서도 4번 유형으로 존재했을 뿐임을 알게 되었다. 

유추하건데 아버지는 8번, 엄마와 남동생은 같은 1번 유형일 것이다. 자신만만한 도전가 유형인 8번과 완벽주의 성향의 개혁가인 1번은 모두 분노를 원천으로 행동을 실천하는 장형에 속한다. 감수성이 높고 직관적이며 독창적인 성향을 가진 개인주의적인 예술가 유형의  4번은, 성격적 특징의 차이에서 드러나는 것만큼이나 장형과는 가장 먼 거리에 떨어져 있다. 

자기인식self-awareness이 중요한 것은, 이를 통해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하고 있을지 모르는 행동들에 대해 알아차림으로써 자기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소중한 우리 아이들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 중 하나가 바로 이 자기인식이 높은 부모라고도 감히 말할 수 있을지 모른다. 자기도 모르게 스스로 자기 부정의 그림자 속에 감추어 둔 모습들에 올바른 자기인식이라는 찬란한 빛이 드리워지면, 이는 더 이상 자신을 괴롭히는 어두움이 아닌 자기 사랑의 일부로 통합된다. 자기인식이 높은 부모는 아이를 위해 그 역할을 해줄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에니어그램은 부모들로 하여금 아이들의 원초적인 욕구와 기질적 특징, 고유한 강점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키고, 인간 대 인간으로서의 부모-자식 간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에 대한 중대한 힌트를 제공해주는 귀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요즘 아이들 마음을 도통 이해할 수 없다거나 아이들과의 소통에 벽을 느끼고 계신 우리 부모님들 중에, 아직 에니어그램 진단을 접할 기회가 없었던 분들이 계신다면 오늘 에니어그램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알아보면 어떨까? 분명 깊은 치유와 성장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 믿는다.

코칭질문(1): 우리 아이의 모습들 중에 이해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부분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나와는 다른 내 아이의 모습을 이해하고 인정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나요?

코칭질문(2): 우리 가족의 에니어그램 유형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가족 구성원들의 고유한 모습을 이해함으로써 어떤 도움을 받고 있나요?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