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챙김에도 연습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한국부모교육학회
2025-06-20 12:02 103 0

본문

마음챙김에도 연습이 필요합니다.

 

2025년의 벌써 6월입니다! 상반기에 여러분은 어떤 시간을 보내셨나요? 올 초에 세운 계획들은 기억하시고 잘 이뤄지고 있으신가요?

 

어떤 분들은 기대 이상의 성취를 이루며 뿌듯함을 느끼고 있을 겁니다. 반면에 예상보다 어려운 상황을 맞닥뜨리며 나는 왜 이렇게 부족할까?”라는 마음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사람마다 상황과 환경은 다르지만 중요한 것은 상반기의 결과보다 앞으로의 방향입니다. 그리고 그 방향을 다시 세우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 바로 마음챙김입니다.

 

우리는 종종 계획대로 되지 않으면 스스로를 혹독하게 평가합니다. “왜 나는 이걸 못했지?” “나는 다른 사람보다 부족한 것 같아같은 생각으로 스스로를 몰아세우곤 합니다. 하지만 멈춰서 생각해 보면, 부족하거나 실패한 것이 아니라, 그저 배움의 순간을 맞이한 것일 뿐입니다.

 

마음챙김은 지금 이 순간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며, 나를 수용하고 다독여주는 연습입니다.

상반기의 결과를 돌아보며, 그것을 평가하기보다는 "나는 지금 어떤 마음을 느끼고 있지?”라는 질문을 던져보세요.

아쉬움도, 기쁨도, 지금의 나를 구성하는 소중한 한 부분입니다.

 

 

첫째 매일 5, 나를 위한 시간 만들기

우리의 하루는 종종 너무 빠르게 흘러갑니다. 휴대폰 알림, 업무, 가족의 일 등

돌릴 틈 없이 바쁘게 움직이다 보면, 정작 내 마음은 소외되기 쉽습니다.

매일 단 5분이라도 좋습니다.

휴대폰을 멀리 두고, 스스로에게 집중해보세요. 때로는 출퇴근 하는 시간 단 5분이라도 좋습니다. 나의 호흡을 따라가며 몸의 감각을 느껴보세요. “나는 지금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을까?”를 조용히 묻는 순간, 마음의 소란이 조금씩 가라앉기 시작합니다.

 

둘째 작은 감사의 기록 남기기

마음챙김은 내 안에 있는 부족함보다 있는 그대로의 충분함을 찾아주는 연습입니다.

하루를 마무리할 때, 오늘 고마웠던 순간 3가지를 적어보세요.

예를 들어, “아침에 마신 커피 한 잔의 향기” “동료의 따뜻한 한마디” “내가 해냈던 작은 업무처럼 사소한 것들도 괜찮아요.

이렇게 감사의 시선을 연습하다 보면, 삶이 조금씩 밝아지고, 작은 기쁨이 자라납니다.

 

마음챙김은 내 마음을 다시 나에게 돌려줍니다

마음챙김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나 자신을 존중하는 태도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 나를 잊지 않도록, 내 마음을 돌보는 습관을 만들어보세요.

이 작은 마음챙김이 2025년 하반기를 새로운 희망으로 채우는 첫걸음이 될 거예요.

 

2025년의 6월에 접어 들었고, 아직 반이 아직 우리 앞에 놓여 있습니다.

상반기의 경험이 우리를 성장시켰듯, 이제는 더 단단해진 마음으로 새로운 여정을 준비할 시간입니다.

마음챙김을 통해 내 마음을 돌보고, 새로운 가능성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보세요.

당신의 마음챙김 여정을 늘 응원합니다!

 

 

코칭을 위한 질문

1. 상반기 나에게 가장 의미 있었던 순간은 언제였나요?

2. 지금 나의 마음에 무엇을 가장 필요로 하나요?

3. 올 하반기 내 마음을 돌아보기 위해 시도 해보고 싶은 아주 사소한 하나는 무엇인가요?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