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의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방법

profile_image
한국부모교육학회
2025-05-30 11:58 58 0

본문

우리 아이의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방법

(반두라의 자기 효능감)

 

자기효능감(Self-efficacy)란 무엇일까요?

자기 효능감은 개인이 특정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말합니다. 특히나 반두라(Albert Bandura)의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이론은 학습 동기와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다시 한번 정리해 보자면

자기 효능감이란

자신이 특정 상황에서 필요한 행동을 조직하고 수행하여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개인의 신념을 말합니다.

 

이 신념은 단순한 자신감과는 다르며, 특정한 과제나 상황에 대한 구체적 믿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수학 시험을 잘 볼 수 있다는 믿음은 수학이라는 특정 분야에 대한 자기 효능감입니다.

 

그렇다면 자기 효능감을 높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자기 효능감이 높은 학생은 어려운 과제도 포기하지 않고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반면, 효능감이 낮은 학생은 쉽게 포기하거나 회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리 아이가 어려운 과제도 포기 하지 않고 잘 해결하 나가길 바란다면, 자기 효능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기 효능감은 다음 네 가지 경험을 통해 형성됩니다.

1. 성공 경험(성취 경험, Mastery Experiences)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은 자기 효능감을 높입니다.

 

2. 대리 경험(Vicarious Experiences)

비슷한 상황에 있는 다른 사람이 성공하는 것을 보면서 나도 할 수 있다는 믿음을 형성하게 됩니다.

 

3. 언어적 설득(Verbal Persuasion)

교사, 부모, 또래 등 중요한 사람들로부터 너라면 할 수 있어와 같은 긍정적 피드백을 받으면 자기 효능감이 상승하게 됩니다.

 

4. 정서적·생리적 상태(Emotional and Physiological States)

스트레스, 불안, 피로 등은 자기 효능감을 낮출 수 있고, 긍정적 감정 상태는 높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가정에서 부모의 역할을 통해 아이의 자기 효능감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코칭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1. 작은 성공 경험 쌓기 (점진적 도전 제공)

아이가 자신의 노력으로 문제를 해결하거나 과제를 완수할 수 있는 작은 성공 경험을 반복하게 하면 자기 효능감이 서서히 자라납니다.

예시: 처음부터 큰 과제를 맡기기보다 쉬운 일부터 맡기고 점점 난이도를 높이기.

"방 정리"를 처음에는 책상 위만, 다음에는 바닥까지 정리하도록 점진적으로 확대.

 

2. 역할 모델 제공 (대리 경험 강조)

형제자매, 부모, 또래 친구의 성공 사례를 보여주는 것은 아이에게 "나도 할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줍니다.

예시: 형이 스스로 숙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부모가 자신도 실수했지만 결국 해결한 경험을 이야기해주기.

3. 긍정적이고 구체적인 언어적 피드백 제공

"잘했어!"보다는 노력과 과정에 집중한 구체적 칭찬이 더 큰 효과가 있습니다.

예시: “너 천재야!”가 아니라, “네가 어제 스스로 계획 세우고 공부한 게 이번 결과에 도움이 된 것 같아!”

4. 실패에 대한 긍정적 해석 지도

실패를 단순한 좌절로 보지 않고 학습의 기회로 받아들이는 시각을 기르면, 실패에도 자기 효능감이 무너지지 않습니다.

예시: “이번에 실수한 부분이 뭐였는지 알아보고 다음에 고쳐보자.”

실패했다고 해서 너의 능력이 없는 건 아니야. 아직 연습이 필요한 거야.”

5. 정서적 안정과 격려 제공

아이가 스트레스나 불안을 느끼지 않도록 가정 내에서 안정적 정서 환경을 조성해주면, 새로운 도전에 대한 두려움이 줄어들고 자기 효능감이 높아집니다.

예시: 아이가 긴장할 때 괜찮아, 잘하려고 애쓰는 게 더 중요해라고 다독이기.

감정 표현을 존중하고 그럴 수 있어식의 공감적 반응 제공.

 

이러한 방법들을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실천하면, 아이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을 기르고 점차 도전적인 일도 스스로 해내려는 태도를 가지게 됩니다.

 

오늘 아이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코칭 방법을 한번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

  

 

<성찰질문>

1. 아이의 성장을 위해 시도해본 노력 중 성공했던 경험은 어떤 것이 있었나요?

 

2. 아이의 어려움 앞에서 내가 무력감을 느낀 적은 언제였고, 그때 어떻게 반응했나요?

 

3. 실패하거나 실수한 아이를 어떻게 바라보고, 어떤 말을 건네고 있나요?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