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몽골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간투야;도미향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2023.09 5 - 21 (17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몽골 어머니를 대상으로 코칭역량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어떠한 관련성과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대한민국에 거주 중인만 3세∼5세 유아를 자녀로 둔 몽골 어머니 210명이었다.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ɑ 계수를 산출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 하위요인 중 어머니의 한계설정, 온정·격려는 정적 상관을보였으나 어머니의 거부·방임, 과보호·허용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코칭역량 요인 중 의사표현역량과 사회적역량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요인 중 한계설정, 온정·격려가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몽골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양육행동이 유아의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NO.1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2023.09 23 - 42 (20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KCYPS 2018의 3차년도조사 데이터 2,384명을 대상으로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부모양육태도 중 긍정적 양육태도와 그릿, 창의적 성격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던 반면 부정적 양육태도는 그릿, 창의적 성격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부모양육태도와 그릿이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긍정적 양육태도는 창의적 성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부정적 양육태도는 창의적 성격에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그릿은 창의적 성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변인들 간의 상관이 있는 것을 토대로 하여 부모양육태도와 창의적 성격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그릿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창의적 성격 그리고 부모의부정적 양육태도와 창의적 성격의 관계에서 모두 부분 매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같은 결과를 통해 긍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그릿을 통해서 창의적 성격이 높아진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반면 부정적 양육태도는 직접적으로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그릿을 낮추면서 창의적 성격의 저하를 초래한다.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의 창의적 성격과 그릿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의 증가와 부정적 양육태도의 감소가 모두 유의미하게 중요함을 확인함과 동시에 부모양육의중요성을 밝혔다는 데 함의가 있다.
NO.2
경기도 0세아전용 어린이집확대 및 활성화 방안

도미향;임화정;민경아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2023.09 43 - 61 (19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특화 보육사업인 0세아전용 어린이집 사업의 확대와 활성화를 위한방안으로 어린이집 발전 방향을 연구하는 데 있다. 경기도 0세아전용 어린이집은 맞벌이 가정이어린아이를 믿고 맡길 수 있도록 2008년 전국 최초로 선보인 0∼1세 전문 보육시설이다. 경기도특화 보육사업을 확대하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0세아전용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원장 4명, 교사 3명으로 구성하여 자료를 탐색하였다. 자료 탐색과정에서 의미있는 단위로 교사대 아동 비율, 영아전문교육과정 요구, 유보통합에따른 고민, 원장의 교사 겸직 상황, 보육 환경 개선 요구가 나타났다. 개선 요구를 바탕으로 어린이집 향후 발전방향의 정책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0세아 교사의 전문성 강화교육을 위한 영아전문교육과정 의무화와 심화교육과정에 관한 지원이 대안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원장의 교사 겸직에관한 논의로 2015년 이후 재검토 필요성이 언급되고, 지침 명시와 지도 감독 등이 잘 지켜지고 효율적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해봐야하는 필요성에 대해 제안되었다. 셋째, 보육 환경의 개선으로전문적인 영아보육을 위한 환경개선의 필요성과 조리사의 전문성 확보, 영아 교재, 교구 놀잇감 준비의 어려움 해소 방안도출에 대해 제안되었다. 넷째, 0세아전용 어린이집에 대한 적극적 홍보로출생신고 단계에서 맞춤형 돌봄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제안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경기도 0세아전용 어린이집이 확대되고 활성화되어 성장할 수 있는 논의의 시작이 되길 기대한다.
NO.3
조직구성원이 지각한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홍문선;도미향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2023.09 63 - 80 (18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지각한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회복탄력성을 통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경기,서울 직장인 31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후, SPSS 27.0 및 AMO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성리더십의 네 가지 하위요인인 자아인식과 균형있는 정보처리, 내재화된 도덕적 관점, 관계적투명성은 조직몰입의 세 가지 하위요인들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긍정성, 사회성은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규범적, 지속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복탄력성의 통제성과 조직몰입의 지속적 요인에는 영향을 미치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의 진성리더십의 네가지 하위요인과 회복탄력성의 긍정성,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의 진성리더십을 높이고,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을 높이기위해서는 이들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다양한 지원제도가 필요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업의 내부에서부터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과 리더들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리더로서 진정성 있는 태도로 좋은 분위기로 환경을 형성해주며 인적관리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