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만 5세 반 유아들이 교실 안과 밖에서 경험하는 놀이와 공간

김숙령; 최진홍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2023.06 5 - 27 (23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만 5세 반 유아들이 유치원 교실 안과 밖에서 어떠한 놀이경험을 하고 놀이 중 사용하는 공간에 대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대전에 위치한 P유치원의 만 5세 온유반 유아 19명(평균연령 75개월)과 교사를 대상으로 놀이실행기록, 놀이관찰기록, 면담, 사진 등의 자료를 수집, 김영천(2012)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유아가 경험하는 놀이의 양상은 첫째,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세상이 펼쳐지는 놀이, 둘째, 위험에 안전하게 도전하는 놀이, 셋째, 사물의 원래 용도와 기능을 폐기하고 새 창조물로 활용하는 놀이로 나타났다. 유아들이 갖는 유치원 교실 안과 밖 공간의 의미는 첫째, 상상의 세계가 현실로 구현되는 공간, 둘째, 또래 혹은 어린 연령의 유아들과 함께 ‘따로 또 같이’ 만들어가는 공간, 셋째, 창출했다가 사라지는, 그러나 기억에 계속 간직되는 공간이었다. 끝으로 만 5세 반 유아들은 교실 안과 밖을 자유롭게 선택할 때 다른 반 유아들을 배려, 합류시키며 놀이를 풍요롭게 확장시켜 나갔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만 5세 반 유아들에게 있어서 교실 안과 밖 공간의 자유로운 선택과 공유공간의 활용이 다채로운 놀이 확장에 중요함을 보여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교실 밖과 공유공간이 교실만큼 의미 있는 공간이자 교육적 가치를 갖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NO.1
포토보이스 방법을 적용한 크리스천 부모다움에 대한 연구

김휘경; 김경미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2023.06 29 - 58 (30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크리스천 부모답다는 것이 무엇인지 고찰하기 위해 크리스천 부모다움에 대해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적용해서 분석하였다. 특히 거룩, 부모훈련, 자녀양육이라는 3가지 주제를 가지고 포토보이스 그룹코칭을 진행하였으며, 주1회 3주간 진행되었다. 21일 동안 말씀을 묵상하면서 찾은 사진들을 미리 공유하여 그룹코칭이 이루어졌다. 영아기, 유아기, 초등기 자녀를 둔 크리스천 부모 1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거룩에서는 하나님 말씀에 거하는 삶, 일상에서 구별되는 삶, 사랑과 감사의 삶, 하늘소망을 바라보는 삶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부모훈련에서는 깨어짐과 회개 훈련, 내려놓음의 훈련, 인내의 훈련, 기도하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녀양육에서는 말씀으로 하는 양육, 삶으로 보여주는 양육, 하나님께 맡기는 양육, 하나님께 영광이 되는 양육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부모다움에서 거룩과 자녀양육에서 공통적으로 말씀이 강조되고 있었으며, 하나님 중심이라는 것은 공통적이었다. 거룩은 부모훈련과 연결되어 있었으며, 부모훈련을 통해 자녀양육이 이루어 질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크리스천 부모다움이란 무엇인지 사진을 통해 성찰하고 변화할 수 있었으며, 공통적으로 크리스천 부모다움은 삶에서 하나님께 초점이 맞춰진 양육이라고 볼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크리스천 부모들의 영성을 위한 교회 내 지원과 프로그램의 확장과 더불어 크리스천 부모다움이 가정의 양육이라는 삶의 현장에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NO.2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소진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수희; 이소희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2023.06 59 - 79 (21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성격특성에 따른 양육소진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양육소진을 예방하고 건강한 가정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소진 척도(VETI-MB)를 개발하고 검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및 어머니를 대상으로 워크숍과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양육소진 상황에 대한 문항을 수집하였으며, 전문가 타당도를 통해 선정된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은 문항 간 상관분석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107문항이 최종척도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최종척도의 신뢰도 Cronbach ɑ의 계수는 .875-.941로 나타났다. 이후,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 검증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인정받은 검사도구인 VETI-A(비전에니어그램 성인용 성격검사)와 VETI-M(비전에니어그램 어머니용 성격검사)와의 공인타당도, 구성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어머니가 자신의 에니어그램 성격적 특성에 따른 취약한 양육소진 상황을 알고, 부모 교육 현장이나 양육 현장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NO.3
보육교사의 그릿과 교사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강현경; 도미향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2023.06 81 - 102 (22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그릿과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과의 상관관계와 보육교사의 그릿과 교사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와 충청남도 보육교사 3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차화연(2019)이 그릿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김해리(2018)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 보육교사의 소진을 측정하기 위해 Msalach와 Jacson(1981)이 개발하고 강학구(1996)가 번안하고 정현정(2015)이 수정․보완한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으로 신뢰도 분석과 기술 통계,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그릿과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의 수준을 알아본 결과 그릿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고, 교사효능감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소진은 낮게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의 그릿과 교사효능감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그릿과 심리적 소진 및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그릿과 교사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그릿과 교사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근거로 심리적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였다는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NO.4
보육교사의 교직헌신과 창의적 역할수행,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김응자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2023.06 103 - 124 (22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교직헌신, 창의적 역할수행,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여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증진을 위한 의미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내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5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교직헌신, 창의적 역할수행,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와 행복플로리시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직헌신, 창의적 역할수행,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교직헌신과 창의적 역할수행이 높을수록 행복플로리시가 높게 나타났으며,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많을수록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육의 질을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면서 보육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 보육교사도 영유아도 행복한 어린이집 생활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