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19권 제3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유·아동의 ‘꿈꾀끼깡끈’ 심리적 특성 발달을 돕는 WISE-FIVE 코칭 모델-도구의 개발과 체계화에 관한 연구(1)

이소희(Lee, So-Hee);박은화(Park, Weun-Hwa);박현정(Park, Hyun-Jeong);서은정(Seo, Eun-Jeo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9권 제3호 2022.09 5 - 31 (27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유아동의 ‘꿈꾀끼깡끈’ 심리적 특성 발달을 돕는 통합형 WISE-FIVE 코칭 모델을 구성하고, 코칭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브레인스토밍, 포커스 그룹인터뷰 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모델과 도구를 구성하고, 2차에 걸친 적합성 검토를 받았다. 1차 적합성 검토전문가는 코칭관련 박사논문을 작성하고, KPC 코치 자격을 소유한 7명과 에니어그램 성격 심리 석사논문을 작성하고 10년 이상의 유아교육 기관 원장 3명으로 총 10명이다. 2차 적합성은 아동심리, 놀이치료, 치료놀이로 박사논문을 작성하고, 아동 발달센터와 아동 상담센터에서 전문가로 근무 중인 5명이다. 전문가를 통한 1차 적합성 검토는 4가지 영역, 즉 ①‘꿈꾀끼깡끈’ 심리적 특성과 의미 ②통합코칭 모델로서 WISE-FIVE의 의미와 구조 ③ 상호작용 패러다임 도구 구성 ④‘꿈꾀끼깡끈’에 관한 질문이다. 그 결과 10점 기준으로 3개 영역의 평균 8.9의 적합성과 심리적 특성 질문이 구성되었다. 2차 적합성 검토는 1차 검토과정의 결과와 피드백을 토대로 ① ‘꿈-꾀-끼-깡-끈’의 심리코칭을 위한 질문에 대해 7점 리커트 기준 6.4의 적합성이 확인되었으며, ② 상호작용 패러다임 도구의 확정으로 [OK-ko]가 개발되었다. 그리고 최종 확정된 질문으로 유아동기의 남자 아이와 여자 아이 4명을 대상으로 시험 코칭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분석되어 추후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NO.1
유아교사의 놀이 신념, 음악교육 인식, 음악적 태도가 음악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갑순(Kim, Kab Soon);조경희(Cho, Kyoung-Hee)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9권 제3호 2022.09 33 - 52 (20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음악교육 인식, 음악적 태도가 음악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사 2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첫째, 설문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 신념, 음악교육 인식, 음악적 태도, 음악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놀이 신념, 음약교육 인식, 음악적 태도가 음악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음악교수 효능감과 놀이 신념, 음악교육 인식, 음악적 태도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음악교수 효능감에 음악교육 인식과 음악적 태도가 유의미한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영향력이 높은 변인은 음악적 태도로 나타났다.
NO.2
IPA를 활용한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분석

진정선(Jin Jeong-seon);구광현(Koo Kwang-hyun);손미희(Son Mi-hee)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9권 제3호 2022.09 53 - 73 (21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IPA를 활용하여 유아교사의 전문성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 중인 교사 33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평균, 표준편차, t검정, IPA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성에 대한 유아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요도가 실행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구성하는 5개 요소 가운데, 행동지도 및 치료적 능력, 환경조성능력, 교육프로그램 운영 관련 지식과 기술 및 수행능력은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유지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셋째,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아 개선 노력이 필요한 영역에는 5개 요소(보호적 능력, 행동지도 및 치료적 능력, 환경조성능력, 교육프로그램 운영 관련 지식과 기술 및 수행능력, 평가능력) 모두 해당되지 않았다. 넷째, 보호적 능력과 평가능력에 대한 역량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낮게 나타나 전문성에 대한 인식제고와 실행도를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어떠한 지원방안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NO.3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력 매개효과

김양진(Kim, Yang-jin);도미향(Do, Mi-Hya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9권 제3호 2022.09 75 - 98 (24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만 3세∼5세 유아를 둔 어머니 569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매개역할을 통해서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자료분석은 SPSS 26.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Baron과 Kenny의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어머니의 코칭역량, 양육효능감,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공감능력의 모두 평균이 중간 이상의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공감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 되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어머니의 코칭역량,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공감능력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매개되었을 때, 유아 공감능력의 향상됨이 검증되었다. 이에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양육효능감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가정에 제공되어 유아의 공감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는 다각적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NO.4
아동의 기질이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놀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인금(Choi, In-Geum)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9권 제3호 2022.09 99 - 125 (27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놀이성을 매개변수로 활용하여 아동의 기질이 놀이성을 통하여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아동 보육 현장과 자녀 양육의 실제에서 아동의 기질 유형에 따른 놀이성과 또래 상호작용 지원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공립, 민간, 가정 어린이집 만 4∼6세 아동의 부모와 그 담임교사 157명을 연구대상으로 2021년 10월 15일부터 12월 16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기질(사회성, 활동성, 수줍음)”은 “놀이성(즐거움의 표현,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동의 “기질(사회성, 활동성, 수줍음)”은 “또래 상호작용(표현적 상호작용, 순응적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아동의 “놀이성(즐거움의 표현,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은 “또래 상호작용(표현적 상호작용, 순응적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아동의 ”놀이성“은 ”기질“과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놀이성을 매개변수로 활용하여 아동의 기질이 놀이성을 통하여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아동 유아교육현장과 자녀 양육의 실제에서 아동의 기질 유형에 따른 놀이성과 또래 상호작용의 기초를 마련하였다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NO.5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의 학업적 자아개념, 교과 이해도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와 종단적 영향
국어, 영어,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하아영(Ha, A-Yeo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9권 제3호 2022.09 127 - 149 (23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의 학업적 자아개념, 교과 이해도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와 변인 간 종단적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 2013 패널자료 중에서 6차년도(고1)와 7차년도(고2)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남학생은 3,623명, 여학생은 3,701명 전체 7,324명이다. 본 연구에서 고등학교 1학년 교과 이해도는 학업성취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2학년 교과 이해도와 학업적 자아개념은 학업성취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별 종단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고등학교 1학년 국어, 수학, 영어교과의 이해도, 학업적 자아개념, 성취도는 고등학교 2학년 교과 이해도, 학업적 자아개념, 국어교과 성취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어, 영어, 수학교과에서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의 학업적 자아개념, 교과 이해도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와 종단적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의 학업관련 변인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NO.6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능력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태명원(Tae, Myeung-Won)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9권 제3호 2022.09 151 - 174 (24 pages)

국문초록
본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능력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자기효능감이 이러한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경기지역 사회복지사 223명을 연구대상으로 2021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 직무수행능력은 서비스 질에 정(+)의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능력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은 서비스 질에 정(+)의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능력과 서비스 질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지각하고 있는 사회복지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견하고, 사회복지 서비스 질 향상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증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