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코칭역량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종임(Lee, Jong-Im);도미향(Do, Mi-Hya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2021.12 5 - 25 (21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코칭역량의 일반적 경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코칭역량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1∼2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린이집 어머니 233명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Pearson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코칭역량, 영아의 정서 지능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은 전체 평균이 보통 수준이었고, 코칭역량 수준과 영아의 정서지능 수준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코칭역량의 하위요인은 영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중 ‘부모 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감’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코칭역량 중 ‘의사존중역량’과 ‘자기성장역량’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아의 정서지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코칭역량을 확인해 봄으로써 영아의 정서지능 발달을 위한 부모코칭프로그램의 개발과 양육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실천 방향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NO.1
청소년의 운동단련 태도에 따라 체력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섭정정(Nie, Jing Jing);고흥(Kou, Heu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2021.12 27 - 53 (27 pages)

국문초록
청소년의 신체 현황을 조사하여 청소년의 운동단련 태도와 체력활동 관계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운동단련 태도가 청소년의 체력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관련 체력활동 이론의 적용을 검증한다. SPSS 22.0 통계 소프트웨어로 데이터에 대한 기술 통계, 다변량 분석 그리고 회귀 분석을 실시한다. 계획 행동량표[TPB 태도량표(Theory of planned behavior Attitude Scale)], 체력활동 등급량표[PARS-3 (Physical Activity Rating Scale)]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중국 광시(Guangxi, 廣西)좡족자치구(Zhuang Autonomous Region, 壯族自治區) 난닝시(Nanning City, 南寧市)의 한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84명을 조사했다. 그 결과 운동단련 태도가 적극적인 청소년은 중간 정도 및 소극적인 운동단련 태도를 갖는 청소년(F=21.36, p<.05)보다 체력활동이 매우 높으며, 남성 청소년 체력활동은 여성(F=4.17, p<.05)보다 더 높았다, 운동단련 태도가 적극적인 남성 청소년(M=68.67, SE=3.32)이 여성 청소년(M=43.08, SE=3.77) 보다 높았다. 체력활동 수준은 적극적인 운동단련 태도와 직결되었다(R=.564, p<.05). 청소년의 운동단련 태도는 일반적으로 적극적이다. 남성 청소년의 운동단련 태도와 체력활동 수준이 여성보다 높았다.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운동단련 태도는 체력활동 수준을 개선하는 데 직접적인 개입되는 결과를 가졌다. 청소년의 심신 발달이 중요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의 적극적인 운동태도는 운동과 습관을 길러 건강한 성장 발육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 체력활동 지도 권고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일부 마련하였다.
NO.2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류은수(Ryu, Eun Soo)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2021.12 55 - 71 (17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고 있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 소재 중학교 1, 2, 3학년 총382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 학교생활적응은 세 변인 모두 서로 양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학부모 교육자료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고, 나아가 남녀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학교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NO.3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셀프리더십 자기분석 연구

모아라(Mo, A-Ra);이소현(Lee, So-Hyun)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2021.12 73 - 95 (23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분석을 바탕으로 그 보완점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의 중간관리자 5명이며, 화상면담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WOT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어린이집 중간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자기분석을 통해 자신의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기 요인을 살펴보도록 하였다. 또 약점과 위기요건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해 보완할 수 있는 점을 스스로 탐색해보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의 강점, 약점, 기회, 위기에 대한 4개의 주제군에 대해서 14개의 하위주제로 범주화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약점과 위기에 대해서는 보완점이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SWOT 분석을 활용하여 셀프리더십에 대한 자기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약점과 위기에 대한 보완점을 확인함으로써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셀프리더십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NO.4
중국 허난성 취학 전 융합교육 교사의 전문소양 현황에 관한 연구

요소연(Yao, Xiao Yan);고흥(Kou, Heu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2021.12 97 - 125 (29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허난성의 취학 전 융합교육 교사의 전문적 소양 현황을 전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여 취학 전 융합교육 교사의 전문적 소양 향상을 하도록 한다. 즉, 교사의 전문적 소양의 평균점수와 인구학적 변수의 차이점이 있으면 문제점이 있으므로 취학 전 유아 융합교육 교사의 전문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고 전문 소양 향상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정량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중국 허난성의 106개 융합교육 시범유치원에서 교사 총 430명의 융합학급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신뢰성이 좋은 《허난성 취학 전 융합교육 교사 전문소양 설문지》를 사용하여 정식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SPSS 26.0 통계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술적 통계, one-way ANOVA, 독립표본 t 검증(independent-samples t-test) 등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 현황을 이해하는 연구를 하였다. 공식적 시험 결과로는 허난성 취학 전 유아 융합교육 교사의 전문적 소양 전체 평균점수는 4점 이상 (M=4.069, SD=.069) 이었다. 각 차원별 점수 차이가 있었는데, 전공 의식 및 도덕성(M=4.408, SD=.582); 전문지식(M=3.734, SD=.856); 전문능력(M=4.128, SD=.630)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자기 변수로 하여 one-way ANOVA 또는 독립표본 t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4가지 배경 변수가 교사의 전문적 소양 수준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연령(전문지식, F=3.096, p<.05); 직함(전문지식 F=3.333, p<.05; 전문능력 F=3.129, p<.05); 전문과정 학습(전문지식 F=3.755, p<.001; 전문능력 F=2.340, p<.05); 유치원급(전문능력 F=3.471, p<.05)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현재 허난성의 취학 전 융합교육 교사의 전문적 소양은 평균적으로 수준이 양호하였으나, 그러나 전문지식 차원에서는 시급히 개선을 요하는 낮은 점수를 받았다. 교사의 4가지 변수인, 나이(age), 직책, 전공수업 참여 여부와 유치원급 등 4가지 변수는 교사의 전문적 소양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전문적 소양에 영향을 주는 4개의 변수가 요소이므로, 허난성의 취학 전 융합 교육 교사의 전문적인 소양 수준을 4개의 변수로 개선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