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
아이들이 주인공이 되는 즐거운 바깥놀이 프로그램 적용 연구김순숙(Kim, Soon Sook);도미향(Do, Mi Hyang);구승희(Koo, Seung Hee);최정은(Choi, Jung Eun) 국문초록본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들이 중심이 되고, 놀이가 중심이 되는 어린이집의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남 홍성군에 위치한 충청남도청어린이집 영아 97명과 유아 126명을 포함한 영유아 213명과 영아반교사 19명과 유아반 교사 9명을 포함한 교사 28명을 대상으로 참여적 실행연구를 하였다. 연구방법은 참여관찰, 현지자료 조사, 기타자료조사 등을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심층적 분석과 고찰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영유아 중심의 바깥놀이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여 영유아 중심의 바깥놀이를 활성화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둘째, 구성한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긍정적이고 주도적인 영유아의 변화와 영유아 중심의 바깥놀이 중요성 및 바깥놀이를 연구하는 등 교사의 변화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유롭게 바깥놀이에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영유아 주도의 바깥놀이가 활성화되고, 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와 상호작용을 통해 영유아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어 어린이집의 바깥놀이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
NO.1 |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자연친화교육 활동이 만2세 영아의 놀이성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이병주(Lee, Byung Ju);이윤옥(Lee, Yeun Ok)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2021.09 29 - 52 (24 pages) 국문초록본 연구는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자연친화교육 활동을 구안하여 만2세 영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충청북도 C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2곳 만2세반 영아 28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자연친화 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자연탐구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활동 적용은 10주간 진행되었으며 영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Barnett(1991)가 유아의 놀이성 척도(Children s Playfulness Scale)를 기초로 윤상인(2011)이 만2세 영아의 발달수준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자연친화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는 Musser와 Diamond(1999)의 CATES-PV를 추엄예(2016)가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WIN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자연친화 교육활동을 실시한 집단에서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그리고 즐거움 표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자연친화 교육활동을 적용한 집단이 일반적 활동을 적용한 집단보다 자연친화적 태도의 하위요인 중 ‘동·식물에 대한 애호’,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 그리고 ‘자연물에 대한 사랑표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자연친화교육 활동은 영아의 놀이성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율적인 교육활동임이 입증되었음을 시사하며, 앞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자연친화 교육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의 기반을 만든것에 의의가 있다. |
NO.2 |
영유아 육아지원을 위한 놀이 콘텐츠 분석연구 - 임신육아 종합포털 아이사랑 놀이 콘텐츠를 중심으로도미향(Do, Mi Hyang);배영지(Bae, Young Ji);윤지영(Yun, Ji You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2021.09 52 - 70 (19 pages) 국문초록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대표적인 육아 정보 제공 인터넷사이트인 임신 육아 종합 포털 아이사랑 콘텐츠의 놀이 구성을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부모와 영유아가 함께하는 질적으로 우수한 놀이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유아보육전공 교수와 박사 4명은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놀이 콘텐츠에서 제공된 놀이를 놀이 상황, 연령, 개정된 보육 과정과의 연계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그 결과, 놀이 콘텐츠는 요즘처럼 전염병으로 인해 제한된 생활에서 가정 보육이 길어지며 육아로 지친 부모들에게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령과 수준을 고려하여 제공되었으며 영유아에게는 다양한 재료들과 놀이를 경험함으로써 전인 발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놀이 재료의 다양화, 놀이 상호작용을 좀 더 접근하기 쉬운 방법으로 구체화한다면 놀이 콘텐츠의 활용도는 더 높아질 것이다. 그러나 변화된 보육 과정의 개정이 반영되지 않아 부족한 내용은 표준보육 과정에 근거하여 내용을 수정,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콘텐츠의 놀이 분석을 통해 비대면 상황에 부모들이 활용하는 온라인 놀이 콘텐츠에 대해 이해하고 활용도를 높이므로 영유아의 전인 발달을 도울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 육아 종합 포털 아이사랑 놀이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놀이 콘텐츠를 제4차 표준보육 과정과 연계하여 균형 있는 놀이 콘텐츠를 제공하므로, 코로나19로 제한된 생활에서도 장소와 관계없이 부모와 영유아의 긍정적인 놀이 상호작용으로 영유아의 발달을 도와 행복 지수가 높아지길 기대한다. |
NO.3 |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의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최윤숙(Choi, Yoon Sook)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2021.09 71 - 89 (19 pages) 국문초록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스트레스와 유아회복탄력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둘째, 유아스트레스가 유아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셋째, 유아스트레스와 유아회복탄력성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10개의 국‧공립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유아의 어머니, 유아의 선생님으로 유의한 답변 202개로 이를 대상으로 SPSS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육기관 적응을 측정한 문항들의 타당도는 요인분석을, 신뢰도는 크론바하 알파계수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통계분석 결과는 첫째, 어머니 양육태도는 애정성과 자율성으로, 유아스트레스는 불안-좌절 경험, 비난-공격 상황, 자존감 손상으로, 유아회복탄력성은 공감능력, 낙관성,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적극적 도전성, 충동 통제력으로, 유아교육기관 적응은 사회성, 자율성, 적극성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어머니 양육태도 중 애정성이 높으면 유아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관계가 성립하였으나, 자율성은 유아스트레스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스트레스와 유아회복탄력성 또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회복탄력성은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유아스트레스는 일부만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유아의 충동 통제력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다. 특히 남아가 여아보다 충동 통제력이 낮았으므로 어린이집에서는 남아의 충동 통제력을 키울 수 있도록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듣고 집중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