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본문

부모교육연구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발행주기 : 계간 (발행 월: 3,6,9,12)
pISSN : 1738-4133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수록논문

NO.0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어머니의 양육소진코칭을 위한 그림척도 개발과 타당화

한수희(Han, Su Hee);김일부(Kim, Il Bu);이소희(Lee, So Hee)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2021.06 5 - 37 (33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어머니의 양육소진코칭을 위한 그림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 2차, 3차에 걸쳐 에니어그램 양육소진 그림척도 개발과정이 이루어졌다. 1차 그림개발과정은 문헌조사와 개발형질문지와 인터뷰 및 어머니 대상 워크숍을 통해 양육소진 상황을 추출한 수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토대로 총 2개의 공통 양육소진 상황과 9개의 개별 양육소진 상황을 추출하였다. 2차 그림 개발과정은 개방형질문지와 인터뷰 및 워크숍을 토대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어머니의 이미지를 그린후,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토대로 수정·보완 작업을 하였다. 3차 그림 개발과정은 양육소진 상황과 어머니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양육소진 공통상황에서 각 유형별 그림 2장씩, 양육소진 개별상황에서 각 유형별 그림 1장씩, 총 27장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어머니의 양육소진 그림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차, 2차, 3차에 걸쳐 그림척도 타당도 검증 과정이 이루어졌다. 1차 타당도 과정은 문항을 바탕으로 그린 그림이 타당한지 전문가 타당도를 받았다. 2차 타당도 과정은 전문가 타당도에서 나온 의견을 바탕으로 그림을 수정하여 다른 집단의
전문가 타당도를 받았다. 3차 타당도 과정은 서울, 경기, 세종지역 어머니 40명을 대상으로 이소희·윤호 그림과 이소희·유성훈 그림과 본 연구도구 검사결과의 성격유형 일치도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6번이 83.3%로 가장높은 일치율을 보였으며, 1유형이 77.7%의 일치율을 보였으며, 3유형, 4유형, 7유형, 8유형이 75%의 일치율을 보였으며, 5유형, 9유형이 66.6%의 일치율을 보이고 전체적인 일치율은 74.4%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의의는 그림 기존 정량적 방법에서 벗어나 좀 더 쉽고, 융통성 있고, 자신을 보다 심도있게 관찰할 수 있는 그림의 장점을 활용하여 자신의 성격유형을 검사하는데 기존척도와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NO.1
ARCS 모델이 목판화 교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학습자의 학습동기 함양을 중심으로 -

진만철(Chen, Wan-Zhe);김갑순(Kim, Kab Soon);고흥(Kou, Heu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2021.06 39 - 70 (32 pages)

국문초록
연구목적은 학습만족도, 학습투입 등 학생 중심 인 고등교육의 질적 평가 지표는 대학생의 학습과 발전 영역에서 대학교육 과정을 탐구하는데 중요시 되고 있다(Luo, 2009). 목판 판화 학습과정에서 ARCS 모델을 적용하여 이러한 인수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으며, 교과과정 수업의 유효한 평가는 수업에 촉진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법에서의 사례분석법을 적용하여 ARCS 모델 시행 후 대학 목판화 학습과정에 대한 관심도, 학습욕구, 학습신뢰, 학습만족도 현황을 연구하고, ARCS 모델의 실시는 수업 중 학습 동기의 발생, 동기의 전환 및 지속적 발전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현재 미술대학의 미술교육에서 목판화 교사는 학생들의 감정과 심리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강화해야 하며, ARCS 모델을 채택할 수 있다면 교실 학습동기 확립을 체계적으로 안내하고 효과적인 교수법을 제시할 수 있다. 판화 교실 교수자는 수업시간 학생들의 정서 및 심리 분석과 연구를 강화하여 수업시간 동기 의식의 선도, 지속적 발전의 법칙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사상인식을 과학적으로 유도하였다. ARCS 모델을 이용하여 수업시간 동기의 수립을 체계적으로 지도하며 목각 판화 교실 수업의 효율성만을 보장하였다. 교과목표 달성도가 보장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념이 구현되어 목판화 예술의 전통문화 계승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NO.2
코로나상황에서의 보육실습에 관한 인식연구: Q방법론의 Q모집단 구성을 위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정희정(Chung, Hee-ju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2021.06 71 - 93 (23 pages)

국문초록
본 연구는 Q방법론의 Q모집단 구성을 위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코로나 상황에서의 보육실습의 현황을 파악하고 보육실습 경험을 통한 보육실습생의 주관적이고 개별적인 인식을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A시에 위치한 B대학교에 재학 중인 10명의 예비 보육교사인 영유아보육전공 학생으로 FGI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실습생들은 코로나 상황에서 보육실습 기관을 구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코로나로 인해 한시적으로 적용된 4주 직접보육 실습기간은 보육실무 역량을 향상하는 데 있어 짧다고 인식하였고 코로나 상황에서도 기존의 보육실습 기간인 6주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코로나 방역지침에 따른 보육교사를 포함한 영유아의 마스크 착용으로 보육실습시의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코로나 상황에서 6주가 아닌 4주의 직접보육실습으로 실습지도 선생님께 많이 못 배운 점을 아쉬워하였으며 4주의 보육실습 기간동안 지도교사는 보육실습생의 보육직무 역량과 자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예비 보육교사인 영유아보육전공 학생들의 코로나 상황에서의 보육실습인식에 대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Q방법론을 활용한 보육실습 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의 Q모집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바람직한 보육실습 체계 및 보육 실습의 실행방안의 마련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NO.3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ADDIE Model in the Ethnic Costume Design Curriculum

음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ADDIE Model in the Ethnic Costume Design Curriculum 민족의상 디자인 교육과정에서 ADDIE Model의 실행(Implementation)에 관한 연구 광천(Kuang, Qian);김갑순(Kim, Kab Soon);고흥(Kou, Heung)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2021.06 95 - 113 (19 pages)

국문초록
민족 패션 의상 디자인(design)학과의 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ADDIE 모델(Model)이 있다. 본 연구는 ADDIE 모델(Model)에서 패션 의상 디자인학과에서 중요시하는 실행 (Implementation)에 관한 세부적인 연구를 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국 난닝 사범 대학 패션 의상 디자인 전공 3학년 국가 의상 디자인 강의를 수강하는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은 본 연구를 통하여 좋은 교육 체계을 구축하려는데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광서(廣西) 장족(壯族)의 민족적 요소를 깊이 탐구하고, 현대 의류의 혁신적인 탐구 디자인과 결합하고 시각적 미학적 관점에 대하여 질적인 연구를 하여, 국가 복식 디자인 교육과정의 ADDIE 모델 중, I (실행)를 연구하였다. 예술적 맥락 및 기타 측면은 민족의상의 현대 디자인의 문화적 의미를 반영하여 의류의 시각적 영향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는 민족의상을 연구하고 교육하는 교사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