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동기를 높이는 방법 - 성공적인 학습의 비밀과 동기부여

본문
학습 동기를 높이는 방법
((성공적인 학습의 비밀, 동기부여))
김나영
동기Motive 라는 단어는 누구나 한번쯤 들어봤을 만 한 단어입니다.
동기를 한 단어로 표현해 보자면 어떻게 정의 내릴 수 있을까요?
동기는 ____________ 이다.
빈칸에 어떤 단어가 떠오르시나요?
여러 가지 단어들이 있을 수 있지만, 저는 동기는 "힘"으로 정의해 보려고 해요.
동기란
방향을 가지고 목표를 향해 움직이는 힘이고
행동을 일으키는 정신적인 힘이다.
그렇다면 학습 동기란 무엇일까요?
학습 동기는 배우고 싶은 욕망, 공부하고 싶은 마음의 힘으로 정의 내려 봅니다.
학습 동기에는 두 가지가 있어요.
하나는 외재적 동기,
다른 하나는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란
상이나 벌로 하고 싶은 마음이 밖에서 주어지는 것으로 외적 자극이 주어지지 않으면 하고자 하는 동기가 사라지게 됩니다.
외재적 동기를 사용할 수 있는 예를 들어볼게요.
상황: 아이에게 매일 정해진 시간에 숙제를 하기를 바란다.
외재적 동기부여: 아이가 숙제를 정해진 시간에 완료하면 스티커나 작은 보상을 제공한다.
결과: 아이는 보상을 받기 위해 숙제를 정해진 시간에 완료하는 습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외적 보상은 아이들로 하여금 보상이나 처벌로 학습 동기를 직접적으로 증진시킴으로써 학습 및 행동에 강력한 영향을 줍니다.
외재적 동기는 빠른 시간에 학습을 할 수 있는 자극이 될 수 있지만, 외재적 동기의 경우 지속 시간이 짧기에 진정 학습에 대한 동기를 오랫동안 가지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내재적 동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자극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내재적 동기란 무엇일까요?
내재적 동기란 스스로 하고 싶어서 하는 것, 행동 자체에 즐거움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지속성이 길어요.
그렇다면 학습의 내재적 동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부모의 학습 코칭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1. 아이 스스로 학습 과제(혹은 학습 주제 및 진도)를 선택할 수 있게 합니다.
- 부모는 큰 틀의 학습 계획을 가지고 있어야 하지만, 아이가 그 양을 선택할 수 있도록 기회를 줍니다. 오늘은 어디까지 문제를 풀면 좋을 지 스스로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하고, 과제 선택에 있어서도 몇 쪽 정도 풀면 좋을지 선택할 수 있도록 기회를 줍니다. 아이 스스로 선택한 내용일 경우 학습에 임하는 집중도가 달라집니다. “여기까지 풀어”가 아니라 “어디까지 풀까?”를 사전에 질문해 본다면 스스로 결정한 것이기에 스스로 더 몰입하며 공부할 수 있습니다.
2. 작은 성취감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줍니다.
- 학습에 대한 내재적 동기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작은 성취감들의 누적입니다. 난이도 최상의 어려운 문제들을 풀면서 느끼는 좌절이 아니라, 적절한 수준의 문제들로 학습의 성공 성취 경험이 쌓일 때, 풀고자 하는 마음이 더 생기고,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생긴답니다. 학습의 흥미도가 생겨야 그 공부를 오래 공부할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어요.
3. '어떻게'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왜' 공부하는 것인지 스스로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누가 시켜서 하는 공부에는 한계가 있어요. 스스로 학습을 오랫동안 지속하기 위해서는 그 공부가 나에게 어떤 의미인 지, 나의 목표가 무엇인 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공부는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지 고민해 보는 시간을 꼭 가져보아야 해요. 아이에게 이렇게 묻는 다면 어떨까요? 지금 하고 있는 이 공부는 왜 하고 있는 것인 지, 어쩌면 아이에게 묻기 이전에 부모도 한번쯤 고민해 보고 아이와 이야기 나눈다면 더 좋지 않을까요?
공부는 마라톤과 같이 오랜 시간 달려야 마라톤과 같아요.
또한, 공부를 하는 것은 단순히 학창 시절의 단순한 성적을 위한 공부가 끝이 아니라 그 이후의 일생 전반에 있어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해 가는 과정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내재적 동기가 아주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요?
오늘 아이들의 내재적 동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학습 코칭 방법을 한번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
<성찰질문>
1. 아이에게 학습의 주도권을 주었나요?(예: “어디까지 풀어.”가 아니라 “어디까지 풀어볼까?”) 아이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게 하였을 때 아이의 반응은 어떠하였나요?
2. 아이의 작은 성취감을 위해 나는 어떠한 노력을 하였나요?
3. 아이에게 내재적 동기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실천을 적어보세요.
댓글목록0